300x250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||||||
| 2 | 3 | 4 | 5 | 6 | 7 | 8 |
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
| 30 |
Tags
- Information flow security model
- Mac
- NX-bit 우회
- Covert Channels vs Side Channels
- BLP
- 포렌식
- freenet
- 탈옥
- iphone
- rooting
- ss-property
- Clark-wilson model
- 클라크윌슨 모델
- Biba model
- 더티카우공격
- integrety
- 아이폰탈옥
- checkra1n
- Chinese Wall
- AFT
- 버퍼오퍼블로우
- HRU
- Harriso Ruzo
- Permission modifiy
- Bell-lapadula
- *-propoerty
- ios
- 버전낮추기
- P2P
- 접근제어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NX-bit 우회 (1)
4n6x4t
안녕하세요 오늘은 RTL 공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RTL은 일반적인 Buffer overflow의 대응방안인 NX-bit을 우회하기 위해서 개발되었습니다. NX-Bit는 스택영역에서 코드 실행을 막는 대응방안인데요, RTL은 스택영역에서 실행하지 않고 TEXT영역에 있는 코드의 주소로 Return Address를 덮어써서 우회 실행하는 방법입니다. ex) system()함수로 RET를 덮어씀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함수의 기본 동작인 프롤로그와 에필로그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데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. 함수 프롤로그, 에필로그 사실 함수의 동작에는 필수적으로 프롤로그와 에필로그라는 동작이 동반됩니다. 이러한 동작을 이해한 다음 RTL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. 먼저 프롤로그부터 살펴보면..
Study/System Security
2023. 4. 27. 13:14